목차
개요
청년내일채움공제는 정부에서 중소·중견기업에 취업한 청년들을 위해 지원하는 정책입니다. 2년간 매월 12만 5000원을 적립하면 만기에 공제금 1600만 원과 이자를 함께 받을 수 있습니다. 이 정책은 중소·중견기업에 우수한 인재를 유치하고 청년들의 장기적인 재직을 지원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.
가입 조건
가입 연령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이며, 군필자는 최대 만 39세까지 가입이 가능합니다. 청년내일채움공제는 첫 취업자이거나 고용보험 가입 기간이 12개월 이하인 경우에만 가입할 수 있습니다. 기업의 최대 주주, 최대 출자자, 그들의 배우자 및 직계 가족들은 가입이 제한됩니다.
2년형 청년내일채움공제
2년간 청년이 매월 12만 5000원을 적립하면 정부는 취업 지원금으로 900만 원을 지급합니다. 기업은 채용 유지 지원금으로 500만 원을 받고, 이 중 청년 장기 재직 기여금 400만 원을 지급합니다. 중소기업에서 정규직으로 2년간 근무하면 정부 지원금 900만 원과 기업 기여금 400만 원을 합쳐 총 1300만 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.
(기존 재직자) 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
기존 재직자라면 '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'에 가입할 수 있습니다. 해당 기업에서 1년 이상 재직 중이고, 가입 연령은 만 15세 이상 34세 이하로 제한됩니다.
청년재직자 내일채움공제는 5년 만기를 가지며, 월 최소 12만 원을 납부하여 720만 원을 모으면 3000만 원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. 기업은 동일 기간 동안 1200만 원을 적립하고, 정부는 3년 동안 1080만 원을 적립하여 만기에 합산하여 지급합니다.
중도 퇴사한다면?
우선은 가입을 하는 것을 추천드려요. 청년내일채움공제 는 중간에 그만둘 수 있고 계약이 성립된 이후에 4개월 가량을 기준으로 계약을 아예 취소하거나 중도 해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. 만약에 그만하기로 된다면 내가 낸 적립금은 모두 받을 수 있지만 가입 기간 중에 정부에서 지원을 해준 금액은 일부 수금만 가능하오니 자격이 된다면 무조건 가입을 해두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.
'경제 이야기 > 복지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10/2 임시공휴일 연차수당 ? 미리쓴 수당&연차는? (0) | 2023.09.02 |
---|---|
청년우대형 청약통장(+사회초년생 국가지원정책) (0) | 2023.06.09 |
강진 소상공인 점포임대료 지원(대상, 금액, 신청기간) (0) | 2023.06.01 |
청년월세지원 총망라(서울,국토부,파주 등) (1) | 2023.06.01 |
전주소상공인카드수수료지원 (신청부터 대상까지 총정리) (0) | 2023.06.01 |
댓글